Kotlin 2

코틀린 스프링을 사용하는 이유

코틀린 스프링을 백엔드 개발할때 쓰는 이유를 적은 글을 쓰며 백엔드 개발을 시작할때 최근에 가장 많이 논의되는 언어가 코틀린과 타입스크립트라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서로의 장단점이 다르다고 느껴져서 이런 글을 적어두고 싶었다.특히 Nest.js에 익숙하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쓴다. 글의 접근 방식 이 글은 코틀린과 다른 언어를 많이 비교하면서 진행될 예정이다. 자바랑 비교하게 되는 내용도 있고, 개인적인 경험을 빗대기 위해서 Dart같은 약간 생소할 수 있는 언어도 사용했다. 글의 내용 코틀린에 대한 소개 코틀린의 강점이라고 느껴지는 부분 백엔드 개발에서 코틀린을 쓰는 이유 코틀린이란? 코틀린. 모던 랭귀지의 대표적인 주자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삼대장을 뽑아보라고 하면 Rust..

Kotlin 2023.11.20

코루틴이란?

이 글을 쓰는 내용 이 글은 코루틴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큰 흐름을 작성하였다 이 글을 쓰는 목적 코루틴이 아닌 다른 Async Non-Blocking 프로그래밍을 경험해보신 분이 읽어보면 코루틴도 다 똑같다는 것을 알리고자 썼다. 특히 Node.js의 이벤트루프 개념을 알고 있는 사람이면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 알고 계신분들 중에서도 코틀린을 쓰는 이유가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으면 해서 이 글을 작성한다.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란? 비동기 프로그래밍이 뭐냐고 물어본다면 이전에는 IO바운드, 오래걸리는 CPU 연산등을 메인쓰레드에서 처리하면 쓰레드 멜트다운이 일어나기 때문에 쓰레드 풀에 있는 다른 쓰레드에 작업을 넘기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라고 설명했을 것이다. 적어도 Node..

Kotlin 2023.10.23